2025년, 교사분들이 기다려온 봉급 인상과 새로운 호봉표가 공개됐습니다. 이번 개편은 단순한 급여 인상이 아니라, 현장의 요구를 반영해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조정되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한데요.
특히 초임 교사와 중간 경력자에게 집중된 인상률, 그리고 다양한 수당과 성과급의 변화까지 살펴볼 부분이 많습니다. 지금부터 2025년 교사 호봉표와 함께, 달라진 수당 제도, 성과급 지급 기준 등을 하나하나 정리해드릴게요.
2025 교사 봉급 얼마나 올랐을까요?
올해 교사 봉급은 평균적으로 약 3% 정도 인상되었습니다. 하지만 이 수치는 평균일 뿐이고요, 자세히 들여다보면 초임(11호봉) 구간은 4~6% 수준의 인상률로 더 크게 올랐습니다.
이건 그동안 교육계에서 꾸준히 제기되어 온 "초임 교사 처우가 너무 열악하다"는 지적을 반영한 결과라고 볼 수 있습니다. 초임 교사들은 교육 현장에 처음 들어가 많은 업무를 경험하면서도 낮은 봉급으로 생활의 어려움을 느끼는 경우가 많았죠. 이번 개편을 통해 초기 10년간 봉급 체계를 강화해, 교직을 안정적으로 이어갈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한 셈입니다.
2025 교사 호봉표 비교 (2024년 대비)
변화된 호봉표를 보면서 얼마나 달라졌는지 직접 비교해보시는 게 이해가 쉬우실 거예요. 아래 표는 2024년과 2025년 호봉별 봉급을 비교한 내용입니다.
1호봉 | 1,806,700원 | 1,915,100원 | 약 6% |
2호봉 | 1,861,400원 | 1,973,100원 | 약 6% |
3호봉 | 1,916,900원 | 2,031,900원 | 약 6% |
4호봉 | 1,972,200원 | 2,090,500원 | 약 6% |
5호봉 | 2,028,000원 | 2,149,600원 | 약 6% |
6호봉 | 2,083,600원 | 2,208,600원 | 약 6% |
7호봉 | 2,138,700원 | 2,267,000원 | 약 6% |
8호봉 | 2,193,500원 | 2,325,100원 | 약 6% |
9호봉 | 2,247,400원 | 2,365,500원 | 약 5% |
10호봉 | 2,285,900원 | 2,387,800원 | 약 4% |
11호봉 | 2,324,400원 | 2,408,300원 | 약 4% |
12호봉 이상 | — | 평균 약 3% 인상 | — |
12호봉 이상은 상대적으로 인상폭이 작긴 하지만, 해당 구간부터는 이미 기본 봉급 자체가 높기 때문에 실제 생활에서 느껴지는 차이는 크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번 개편의 핵심은 “교직 초기에 느끼는 부담을 줄이고, 오래 일할 수 있게 돕겠다”는 정책 방향이 반영된 것입니다.
2025 교사 수당 제도 변경
교사 급여에서 기본급만큼 중요한 것이 바로 각종 수당입니다. 수당 구조는 실제 수령액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함께 바뀐 수당 제도도 꼭 확인하셔야 합니다.
정근수당 (근속에 따른 보상)
올해부터 정근수당이 더 일찍, 더 많이 지급되도록 바뀌었어요.
- 1년 미만 근속자: 기존엔 미지급 → 올해부터는 10% 지급
- 2년 미만: 5% → 10%로 인상
- 3년 미만: 기존과 동일한 10%
- 4년 미만: 15% → 20%로 상향
즉, 근속 4년 차 이내 교사도 봉급의 20%까지 추가 수당을 받을 수 있는 구조가 된 거죠. 이런 변화는 초임 교사들이 금전적으로 안정감을 느끼고, 교직에 오래 머물 수 있도록 유도하는 정책 중 하나입니다.
중요직무급 수당 신설
2025년 3월부터 새로운 수당이 하나 생겼습니다. 바로 ‘중요직무급 수당’인데요, 이름 그대로 특정한 주요 업무를 맡은 교사에게 추가로 지급되는 수당입니다.
- 금액: 월 10만 원
- 지급 기간: 2025년 3월 ~ 2026년 2월까지 (1년간 한시 운영)
교육과정 기획, 위기 학생 지원, 상담 등 학교 내에서 특히 책임이 큰 역할을 맡은 교사들에게 적용됩니다.
현장에서 실무를 많이 하는 선생님들에게 실질적인 보상을 하겠다는 의도가 느껴지는 부분입니다.
기타 주요 수당 정리
교직수당 | 250,000원 | 전체 교사 |
담임수당 | 130,000원 | 담임 교사 |
가족수당 | 자녀 수에 따라 차등 (최대 12만 원) | 배우자 및 자녀 보유자 |
정액급식비 | 140,000원 | 전 공무원 공통 |
시간외근무수당 | 초과 시간 기준 차등 | 실제 근무시간 반영 |
명절휴가비 | 기본급 비례 지급 | 설·추석 2회 지급 |
이처럼 다양한 수당들이 함께 지급되기 때문에, 실제 월 실수령액은 기본 봉급보다 훨씬 많아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2025 교사 성과급 일부 조정
성과급 제도도 올해 소폭 개편됐습니다. 기본 구조는 동일하지만, 지급 금액이 약 3% 인상되었고 등급 간 차등도 일부 조정됐습니다.
- S등급: 약 5,040,000원
- A등급: 약 4,230,000원
- B등급: 약 3,620,000원
성과급은 3월 말에서 5월 초 사이에 지급되며, 정량평가(80%) + 정성평가(20%)를 기준으로 등급이 결정됩니다. 등급 간 차이도 유지되고 있으니, 평가 기준에 맞춰 업무 성실도를 꾸준히 유지하시는 게 중요합니다.
기간제 교사도 성과급
기간제 교사 역시 성과급 대상이지만, 정규 교사보다는 조금 낮은 수준으로 책정되어 있습니다. 2025년 기준으로는 정규 교사 성과급의 약 65% 수준이 지급됩니다.
- S등급: 약 3,138,930원
- A등급: 약 2,628,540원
- B등급: 약 2,245,740원
기간제 교사라고 하더라도 동일한 기준으로 평가받고, 동일한 시기에 지급되기 때문에 성실하게 근무한 분이라면 얼마든지 성과급을 받을 수 있습니다.
마무리
2025년 교사 호봉표와 수당 개편은 단순한 숫자 조정보다 더 깊은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특히 교직 초기의 경제적 부담을 줄이고, 장기적으로 교사로서의 만족도와 안정감을 높이는 데 목적이 있죠. 실제로 이번 개편으로 초임 교사의 실수령액이 적게는 20만 원 이상 늘어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습니다.
성과급, 수당, 호봉 인상까지 종합적으로 살펴보면 교육 현장에서 느끼는 실질적 변화는 더 클 것으로 기대됩니다. 앞으로도 이런 흐름이 꾸준히 이어져서, 교사라는 직업이 더욱 안정적이고 매력적인 길이 되길 바랍니다.
함께 보시면 좋은 글